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Windows 2000/개발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Windows 2000

1. 개요
2. 상세
3. 빌드 목록
3.1. 서비스 팩


1. 개요[편집]



Windows 2000의 개발과정과 빌드에 대해 설명하는 문서이다.


2. 상세[편집]


Windows의 개발
NTSURNT 5.0Whistler
DOSMemphisMillenniumX

Windows NT 4.0의 후속작으로, NT 기반 WinNT 계열의 차기 주자로 기획됐다. NT 계열답게 용도는 기업용.[1] 아이테니엄 제품군을 중점으로 진행됐다. 베타 시절엔 NT 5.0으로 불렸는데 이는 NT 4.0과 달리 따로 코드네임이 없어서 버전명을 사용한 것이다.

NT 4.0 개발 완료 직후인 1996년부터 98과 같이 개발되기 시작했으며 원래 Windows 98과 함께 1998년에 출시하기로 계획됐지만 아이테니엄 제품군이 늦게 출시되어 2000년을 기념하는 의미로 Windows 2000이 됐다. 정식 버전은 1999년 12월에 발표됐다.

MS 운영체제 역사상 가장 뛰어난 제품군라는 마케팅을 하게 된 이유를 설명하자면, 당시에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는 9x 계열에서 보고되는 안정성 문제나 메모리 누수, USB 문제 등을 잘 알고 있었던 터였고[2] 나중에 Windows 2000이 USB를 기본 지원하게 됐으며, 9x의 후속작인 Windows Me에서도 지원하게 되는 계기가 된다.

여담으로 베타 전용 부팅음이 있는 것도 드물지만 2000은 특히 베타부터 RTM에 부팅음이 4번이나 바뀐 전무후무한 사례이기도 하다. 프리 베타(빌드 1631)까지는 NT 4.0의 것을 그대로 가져다 썼고, 베타 1(빌드 1671)에서 한 번 바뀌었고,[3] 이름이 'Windows 2000'으로 확정된 베타 3(빌드 1946)에서 한 번 더 바뀌었고,[4][5] 그리고 빌드 1983에서 현재와 멜로디만 같은 음이 도입됐다가 빌드 2020에서 RTM의 소리가 최종적으로 도입됐다.

베타 3 빌드 1946부터는 VMWare 또는 VirtualBox로 어렵게나마 설치할 수 있지만[6][7] 1946 이전 버전[8]은 사실상 앞의 두 프로그램으로 설치할 수 없다. NT 5.0을 설치하려면 86Box가 필요하다.


3. 빌드 목록[편집]


빌드 목록은 베타위키를 참고했다.

출시일로부터 25년 이상 경과
출시일로부터 20년 이상 경과

강조체공식 베타 및 RTM
노란색공식 베타
라임색RTM 빌드
취소선조작됐거나 창작된 가짜 빌드
O공식적으로 유출 및 배포된 빌드
배포되지 않고 사진 등만 유출된 빌드
X배포되거나 유출된 적이 없는 빌드

개발단계빌드컴파일 일자유출/배포비고
베타 15.0.1393.1불명X[S1]
5.0.1426.1X
5.0.1515.11997년 3월 17일O
5.0.1528.11997년X[S2]
5.0.1574.11997년 6월경X[S2]
5.0.1575.11997년 6월 11일O
5.0.1580.11997년 6월 20일O
5.0.1585.11997년 7월 13일O
5.0.1592.11997년 7월 30일O
5.0.1597.11997년 7~8월경X
5.0.1627.11997년 8월 13일O
5.0.1631.11997년 8월 16일O
5.0.1650.11997년 8~9월경X[9]
5.0.1671.11997년 9월 9일O[10]
임시 개발자 릴리즈5.0.1691.11997년 10월 23일O
5.0.1700.11997년 11월X[S3]
5.0.1701.11997년 11월 22일O
5.0.1717.11997년 8월 16일X[S3]
5.0.1723.11997년 12월 15일O
5.0.1729.11998년 1월 6일O
5.0.1738.11998년 1월 26일O
5.0.1743.11998년 2월 4일O
5.0.1745.11998년 2월 11일O
5.0.1750.11998년X[S3]
5.0.1773.11998년 3월 18일O
5.0.1781.11998년X
5.0.1794.11998년X[S3]
5.0.1796.11998년 4월 30일O
5.0.1802.11998년X[S3]
5.0.1804.11998년X
5.0.1805.11998년X
5.0.1814.11998년 6월 5일O
5.0.1828.11998년 6월X
5.0.1835.11998년 6월 25일O
베타 25.0.1840.11998년 7월경X[S2]
5.0.1841.11998년 7월경X
5.0.1848.11998년 7월 13일O
5.0.1855.11998년 7월 21일O
5.0.1859.11998년 7월 27일O
5.0.1862.11998년X[S2][S4]
5.0.1868.11998년X
5.0.1876.11998년 8월경X
5.0.1877.11998년 8월 17일O[11]
베타 35.0.1888.11998년 9월 4일O
5.0.1890.11998년 9월X[S2]
5.0.1902.11998년 9월 29일O
5.0.1906.11998년 10월 7일O
5.0.1911.11998년 10월 19일O
5.0.1920.11998년X[S2]
5.0.1922.11998년 11월경X[S2]
5.0.1924.11998년 11월경X
5.0.1932.11998년
5.0.1945.11998년 12월경X
5.0.1946.11998년 12월 13일O
5.0.1947.11998년 12월경X
5.0.1948.11998년 12월경X[S3]
5.0.1950.1불명X
5.0.1952.1불명
5.0.1954.1불명X[S3]
5.0.1964.11999년 1월 21일O
5.0.1965.11999년 1월 22일O
5.0.1969.11999년 1월 29일O
5.0.1976.11999년 2월경
5.0.1983.11999년 2월 18일O
5.0.1987.11999년 2월
5.0.1989.11999년 2월 25일O
5.0.1991.11999년 2~3월경X[S3][S4]
5.0.1993.11999년 3월 3일O
5.0.1994.11999년 3월 4일O
5.0.1999.11999년 3월 10일O
5.0.2000.11999년 3월 11일O
5.0.2000.31999년 3월 12일O
5.0.2001.11999년X
5.0.2011.11999년
5.0.2019.11999년 4월경X[S1]
5.0.2020.11999년 4월 13일O
5.0.2024.11999년 4월X
5.0.2031.11999년 4월 26일O[12]
RC 15.0.2032.11999년
5.0.2036.11999년X
5.0.2042.11999년X[S3]
5.0.2050.11999년X[S3]
5.0.2052.11999년X
5.0.2053.11999년X[S1]
5.0.2054.11999년X[S1]
5.0.2055.11999년X[S4]
5.0.2056.11999년X[S4]
5.0.2066.11999년
5.0.2068.11999년 6월 22일O
5.0.2070.11999년 6월X
5.0.2072.11999년 6월 27일O[13]
RC 25.0.2078.11999년X[S2]
5.0.2080.11999년
5.0.2087.11999년X
5.0.2090.11999년
5.0.2091.11999년 8월 3일O
5.0.2092.11999년 8월 7일O
5.0.2098.11999년X
5.0.2099.11999년X
5.0.2112.11999년
5.0.2114.11999년
5.0.2120.11999년X
5.0.2121.11999년
5.0.2124.11999년 9월 7일O
5.0.2128.11999년 9월 10일O
RC 35.0.2136.11999년 9월 29일[CD]
5.0.2148.11999년 10월경X[S4]
5.0.2151.11999년 10월 14일O
5.0.2167.11999년 10월 30일O
5.0.2168.11999년X
5.0.2169.11999년
5.0.2172.11999년X[S2]
5.0.2176.11999년X
5.0.2178.11999년X
5.0.2183.11999년 11월 14일O
사전 RTM 5.0.2190.11999년 11월 30일O
5.0.2194.11999년 12월경
RTM5.0.2195.11999년 12월 7일O
가짜5.0.1386.12010년 2월 28일 [14]


3.1. 서비스 팩[편집]


출시일로부터 20년 이상 경과

강조체공식 베타 및 RTM
노란색공식 베타
라임색RTM 빌드
취소선조작됐거나 창작된 가짜 빌드
O공식적으로 유출 및 배포된 빌드
배포되지 않고 사진 등만 유출된 빌드
X배포되거나 유출된 적이 없는 빌드

개발단계빌드컴파일 일자유출/배포비고
SP 1 베타5.0.2195.16002000년 5월 25일O
5.0.2195.16102000년 6월 15일O
SP 1 RTM5.0.2195.16202000년 7월 21일O
SP 2 베타5.0.2195.27932000년 12월 5일O
SP 2 RTM5.0.2195.29512001년 5월 4일O
SP 3 베타5.0.2195.44482001년 10월 30일O
SP 3 RTM5.0.2195.54382002년 7월 22일O
SP 4 베타5.0.2195.66232003년 1월 29일O
5.0.2195.66322003년 2월 12일O
5.0.2195.66972003년 4월 1일O
5.0.2195.67042003년 4월 14일O
5.0.2195.67062003년 4월 22일O
5.0.2195.67122003년 5월 15일O
5.0.2195.67152003년 6월 3일O
5.0.2195.6717(RC 4.79)2003년 6월 11일O
5.0.2195.6717(RC 4.80)2003년 6월 15일O
SP 4 RTM5.0.2195.67172003년 6월 19일O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5 18:12:11에 나무위키 Windows 2000/개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워낙 성능이 좋아서 가정으로도 많이 사용됐다.[2] 안정성 문제야 두말할 것도 없고, 메모리 누수 역시 95 때부터 있던 고질적인 문제였다. 그리고 윈도우 2000은 USB를 기본으로 지원한다. USB는 95 OSR2 때부터 지원되기 시작했으나 불안정했고 98에서 확장 지원을 했음에도 해결되지 못했는데, 대표적인 사례가 빌 게이츠의 굴욕이다.[3] 도입부가 THX를 연상시킬 정도로 웅장하다.[4] 참고로 막바지에 '슈웅'하는 소리가 바로 종료음이다. Windows 역사상 여러모로 기발했던 효과음이기도 했다.[5] 이때의 시작음이 베타 1에 쓰인 시작음을 이용하여 만든 것이기에, 베타 1의 종료음이라는 식으로 누군가가 잘못된 정보를 퍼뜨린 것이 굳어지게 되었으나 점차 정정되어 가는 추세이다.[6] 1946은 VirtualBox(32비트 색상이나 사운드 출력이 되지 않는다. 출력을 바라면 86Box를 써야 한다.), 1969 및 이후 버전은 VMWare로 설치가 가능하다.[7] 앞의 두 프로그램을 써도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설치가 불가능하다. ’NT 4.0과 2000 사이의 무엇인가(?)‘로 되어 있기 때문에 셋팅을 좀 만져줘야 겨우 돌아간다.[8] 아직 2000이라는 이름이 나오기 전에 'NT 5.0'으로 불렸을 시기[S1] A B C D 2000 소스코드에서 언급됐다.[S2] A B C D E F G H I XP SP1 소스코드에서 언급됐다.[9] 빌드 1773의 dsuiext.dll에서 언급됐다.[10] 공식 베타 1 빌드로 1997년 9월 15일에 배포됐다.[S3] A B C D E F G H I J XP 소스코드에서 언급됐다.[S4] A B C D E 서버 2003 소스코드에서 언급됐다.[11] 공식 베타 2 빌드로 1998년 8월 17일에 배포됐다.[12] 공식 베타 3 빌드로 1999년 4월 29일에 배포됐다.[13] 공식 RC 1 빌드로 1999년 7월 2일에 배포됐다.[CD] CD 사진만 공개됐다.[14] NT 4.0 소스코드에서 빌드 번호만 1386으로 고치고 컴파일한 것이다.